로그인
회원가입
새소식
짤막소식
개인기록물(이주를 위한 백업용)
우주이야기
역사스페셜
홍보포스터
건축문화
스토리
과학·기술
경기·수원·교육소식
특별보고서
집중취재
오피니언
기획·연재
라이프
피플
TV매거진
커뮤니티
스터디
CAMP
갤러리
공지사항
질문답변
자유게시판
유튜브채널
유튜브스토리
유튜브음악감상실
유튜브 상품소개
-특별판-
자료실/쇼핑몰
쇼핑몰
일반자료실
대용량자료실
웹하드
스터디
검색
RSS
전체 10건 / 1 페이지
Install ubuntu on any phone | Ubuntu touch installation 2025
전장시대 진입, 통신을 고려해야 하는 이유는?
Install ubuntu on any phone | Ubuntu touch installation 2025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5일 전
16
Ubuntu 전체 시스템 백업하기
작성자 및 관리자 외 열람할 수 없습니다.
비밀글 기능으로 보호된 글입니다.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5일 전
2
USB 메모리에 우분투 설치하기
32G 메모리는 다이소에서 5000원
USB 메모리에 우분투 설치 등 https://blog.naver.com/gomworks/221039771093 USB 2T 메모리는 요즘 2만원대면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32G 메모리는 다이소에서 5000원에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10일 전
29
윈도우보다 가볍고 빠른 "리눅스"를 USB에 설치하기 (Linux To GO USB 설치)
우주발 이주 대비, 우분투 USB메모리에 설치하고 운영하기
윈도우보다 가볍고 빠른 "리눅스"를 USB에 담다! (Linux To GO USB 제작) https://www.youtube.com/watch?v=DrsbBaEKi-8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11일 전
24
Termux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태블릿에 리눅스 설치하기
https://multitab.tistory.com/266
Termux -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 태블릿에 리눅스 설치하기 링크를 참조하세요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13일 전
35
Linux Deploy를 사용하여 Android에서 Kali Linux 사용
모든 안드로이드 폰이나 태블릿에서 Kali Linux 사용 가능
참고사항 Kali Linux on Android using Linux Deploy https://www.kali.org/blog/kali-linux-android-linux-deploy/ https://www.youtube.com/watch?v=OiU_VK8GXY4 인류 이주를 위한 보급 활용방안은? 휴대가 편한 스마트폰을 활애한 개인 기록용 서버 운영하기 이주후에도 넷은 연결될 전망이다. ARM 하드웨어에서 Kali Linux를 실행하는 것은 처음부터 저희의 주요 목표였습니다. 지금까지 삼성 크롬북, 오드로이드 U2, 라즈베리 파이, RK3306, 갤럭시 노트 10.1, CuBox, Efika MX, 비글본 블랙 등 다양한 기종에 대한 네이티브 이미지를 빌드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Android를 실행하는 거의 모든 최신 기기에 chroot 방식으로 Kali Linux를 설치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실제로 Linux Deploy 개발자들은 간단한 GUI 빌더를 사용하여 chroot 환경에서 다양한 Linux 배포판을 매우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필수 조건 Android 2.1 이상을 구동하고 루팅된 기기. 내부 또는 외부 저장소에 최소 5GB의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 빠른 무선 인터넷 연결. 네트워크에서 배포판을 부트스트랩할 때까지 기다릴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Kali를 위한 Linux Deploy 구성 Kali를 설치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은 거의 없습니다. " 배포 " 탭에서 Kali Linux를 선택하면 중요한 내용은 거의 다 다루었습니다. 선택적으로 아키텍처를 선택하고, Kali 미러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Android 기기에서 설치 유형과 위치를 설정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Linux Deploy에서 제공하는 기본값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칼리 이미지 구축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설치" 버튼을 눌러 저희 저장소에서 바로 Kali Linux 부트스트랩을 시작합니다. 인터넷 연결 속도에 따라 시간이 다소 소요될 수 있습니다. 최소한 도구 없이 Kali Linux 기본 설치를 다운로드하게 됩니다. chroot된 Kali 시작하기 설치가 완료되면 Linux Deploy가 Kali Linux chroot 이미지를 자동으로 마운트하고 로드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SSH 및 VNC와 같은 서비스가 시작되어 원격 접근이 더욱 쉬워집니다. 이 모든 작업은 " 시작 "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수행됩니다. Linux Deploy가 이미지를 설정하는 과정을 다음과 유사한 출력과 함께 볼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Linux Deploy는 chroot된 Kali 이미지 내에서 VNC 및 SSH 서버를 시작했습니다. Android 기기에 할당된 IP 주소(제 경우 10.0.0.10)를 사용하여 원격으로 Kali 세션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chroot된 Kali에 로그인 이제 SSH 또는 VNC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Kali 인스턴스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VNC 비밀번호는 " changeme "이고, SSH 자격 증명은 Linux Deploy를 통해 설정된 사용자 이름( " android ")과 비밀번호 (" changeme ")입니다. muts@slim:~$ ssh android@10.0.0.10 android@10.0.0.10 password: Linux localhost 3.4.5-447845 #1 SMP PREEMPT Fri Apr 12 17:22:34 KST 2013 armv7l Kali GNU/Linux 1.0 [running on Android via Linux Deploy] android@localhost:~$ sudo su root@localhost:/home/android#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loop3 4180944 667268 3304012 17% / tmpfs 952708 80 952628 1% /dev tmpfs 952708 0 952708 0% /dev/shm root@localhost:/home/android# root@localhost:/home/android# apt-get update Hit http://http.kali.org kali Release.gpg Hit http://http.kali.org kali Release Hit http://http.kali.org kali/main Sources Hit http://http.kali.org kali/contrib Sources Hit http://http.kali.org kali/non-free Sources Hit http://http.kali.org kali/main armel Packages Hit http://http.kali.org kali/contrib armel Packages Hit http://http.kali.org kali/non-free armel Packages Ign http://http.kali.org kali/contrib Translation-en_US Ign http://http.kali.org kali/contrib Translation-en Ign http://http.kali.org kali/main Translation-en_US Ign http://http.kali.org kali/main Translation-en Ign http://http.kali.org kali/non-free Translation-en_US Ign http://http.kali.org kali/non-free Translation-en Reading package lists... Done root@localhost:/home/android# 이미지 크기 고려 사항 변경하지 않으면 Linux Deploy는 Kali를 "네이키드(naked)" 방식으로 설치할 때 약 4GB의 이미지 크기를 자동으로 설정합니다. 나중에 Kali 도구를 추가로 설치하려면 Linux Deploy의 설정을 통해 더 큰 이미지 크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로컬 VNC 연결 제대로 작동하도록 몇 가지 VNC 클라이언트를 사용해 봤습니다. 로컬 VNC 클라이언트를 통해 Kali를 제어하는 것이 가장 편리한 작업은 아니지만, 분명히 가능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이 인스턴스에 SSH를 통해 접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 그림은 Galaxy S4에서 찍은 Kali Linux 데스크톱 스크린샷을 오버레이한 것입니다.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14일 전
34
안드로이드폰에 우분투 터치 설치하기
휴대가 편하고 APM 서버와 웹진 운영이 용이한 팁 (우주발 암흑기 전장시대 진입) 개인으로서 체계적으로 기록해 가야 한다.
설치영상 지구에서의 1인당 보급물품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 우분투 터치 설치 프로그램 https://devices.ubuntu-touch.io/installer/ 참고사항 Kali Linux on Android using Linux Deploy https://www.kali.org/blog/kali-linux-android-linux-deploy/ https://www.youtube.com/watch?v=OiU_VK8GXY4 인류 이주를 위한 보급 활용방안은? 휴대가 편한 스마트폰을 활애한 개인 기록용 서버 운영하기 이주후에도 넷은 연결될 전망이다.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14일 전
38
안드로이드 UserLAnd 우분투 폰서버 (1) - 우분투 설치 및 SSH 설치
안드로이드 UserLAnd 우분투 폰서버 (1) - 우분투 설치 및 SSH 설치 [출처] 안드로이드 UserLAnd 우분투 폰서버 (1) - 우분투 설치 및 SSH 설치|작성자 휴즈벌 https://blog.naver.com/wonjinho81/222476337969 apm 설치 https://velvetviolet1024.tistory.com/4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15일 전
34
Apache의 기본 포트 변경하기
파치의 포트 관련 환경설정 파일 열기
$ sudo nano /etc/apache2/ports.conf
80이라고 되어 있는 Listen 포트를 아래와 같이 원하는 포트로 변경한 후 수정한 파일을 저장하고 에디터 모드에서 빠져나옵니다.
아파치의 가상호스트 환경설정 파일 열기
$ sudo nano /etc/apache2/sites-available/000-default.conf
<VirtualHost *:80> 라인을 찾고 아래와 같이 수정한 후 저장하고 나옵니다.
<VirtualHost *:8081>
아파치 서비스 재시작하기
$ sudo /etc/init.d/apache2 restart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16일 전
37
우분투 설치와 서버 운영 APM 설치와 그누보드, 리빌더를 활용한 미래대비 1인 매체 운영하기
미래 서버 운영과 웹진을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우분투에서 서버 설치와 홈페이지 운영하기 우분투서버, 그누보드, 리빌더를 활용한 개인웹진(개인 기록용) 운영 여러 특수한 환경이 주어진다면 개인간 정보교류는? 초 고도 문명의 넷이 연결될 수 있다. 개인 서버 운영과 미니PC를 활애해야 한다. 왜냐하면 우주 암흑기 전장시대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그 습관을 길들여놔야 한다. 미래 전장시대 대비 서버와 웹진을 운영해야 하는 이유는 돌아오는 시점(자신의 거주지)에 여러가지 개인으로서 기록을 다시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체계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 파 구성원이 생기면 여러 신상과 인터뷰 또한 올릴 수 있다. 글을 써야 한다. 기자과정은 의무이다. 서버 운영과 기타 프로그램 또한 익혀야 한다. 윈도우11에서 우분투 추가로 설치하기 참조 https://iamneveralone.tistory.com/63 암흑기 전장시대 이주를 위한 기본적인 준비 개인PC로 서버와 웹진 구축 운영하기 윈도우 11 우분투 LTE APM 3종세트 설치하기 우분투 개발 3종 세트 설치하기 (APM - Apache, PHP, MySQL) phpmyadmin 설치 [Linux] Ubuntu 우분투 phpMyAdmin 설치 방법 안드로이드 UserLAnd 우분투 폰서버 (1) - 우분투 설치 및 SSH 설치 [출처] 안드로이드 UserLAnd 우분투 폰서버 (1) - 우분투 설치 및 SSH 설치|작성자 휴즈벌 https://blog.naver.com/wonjinho81/222476337969 지구에서의 인류 이주는 놀러가는 것이 아니다. 암흑시대로 전장시대에 진입하는 것으로 그것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인류의 지적수준은 미약함으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것만 있지 않는다. 인류만 사냥하는 세력이 있음을 다시한번 인지하길 바랄뿐이다. 그들의 목적은 오로지 그것이었기 때문이다. 그들에 운명의 기로에 서 있는 이유는 마지막 기회이기 때문이다. 그 기회를 놓치면 두 번 다시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의 자세 또한 그 모든것을 증명하고 있는 셈이다. 인류의 위기는 그것에만 있지 않는다. 우주에 의해 모든 상황에 걸렸기 때문이다. 같은 세력으로 볼 수 없다. 그 이유는 범은 범과로서 평범한 인류가 아니기 때문이다. 우주에 의해 영원히 벌을 받을 수 있다. 우리가 마주한 세력은 암흑시대 전 우주를 평정한 절대 탑 세력들이다. 우주에 의해 그 전장의 무대에 세워진 것이다. 인류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점은 맷돌전략으로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그 모든 풍토이기 떄문이다.
김홍범기자
우분투서버
16일 전
30
RSS
검색
검색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Top
Top
Guest
로그인
회원가입
새소식
짤막소식
개인기록물(이주를 위한 백업용)
우주이야기
역사스페셜
홍보포스터
건축문화
스토리
과학·기술
경기·수원·교육소식
특별보고서
집중취재
오피니언
기획·연재
라이프
피플
TV매거진
커뮤니티
스터디
CAMP
갤러리
공지사항
질문답변
자유게시판
유튜브채널
유튜브스토리
유튜브음악감상실
유튜브 상품소개
-특별판-
자료실/쇼핑몰
쇼핑몰
일반자료실
대용량자료실
웹하드
홈
게시판
공지사항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