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교산을 탐방하면서 '창성사지' 절터를 3번 끝에 겨우 찾아서인가 수원시에 이런 문화재가 있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 고생하면서 찾으니, 더욱 보람된 하루가 아니였나 싶다. 창성사지는 광교산 토끼재 등산로 중턱에 위치해 있다. 그러나 어느 이정표 하나 없어 그곳을 쉽게 찾지는 못한다. 대부분 등산객들도 대부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정말 수원에 관심이 있는 일부 몇 사람만 그 위치를 알고 있었다.
인터넷을 뒤져봐도 창성사지를 소개하는 기사뿐 거기까지 가는 길은 나와 있지 않았다. 이번 창성사지 답사는 누구라도 쉽게 찾아갈 수 있도록 그 길을 안내하고자 한다. 광교산은 알다시피 백두대간 13정맥 중 하나인 한남정맥(漢南正脈)의 주봉(主峰)이며, 수원시, 용인시, 의왕시, 성남시에 걸쳐있는 높이 582m의 산으로 4개 시를 아우르는 산이기도 하다. 또한 두 명의 국사를 배출한 광교산은 예로부터 절과 암자가 99개나 있었다는 말이 전해질 정도로 성스럽고 영적인 산이며 불교의 성지이기도 하다.
지금도 광교산엔 남아있는 절터가 많이 있다. 그중에 한곳이 고려 창성사 절터다. 창성사지는 고려 말의 국사 화엄종사였던 명승 진각국사(1305~1382)의 사리탑과 함께 건립된 대각원조탑비(보물 제14호)가 얼마 전까지 이곳에 있었으며 지금은 화홍문에서 삼일상고 쪽으로 올라가는 길에 옮겨져 있다.
향토유적 제4호인 창성사지는 수원시 상광교동 산41에 위치해 있다. 1650㎡ 정도의 크기이며 수풀이 우거진 그곳엔 장대석과, 기단석, 주초석 등이 너부러져 있었다. 창성사지를 가기 위해선 광교산에 있는 보리밥집 폭포농원을 지나 올라가야 한다. 폭포농원 안을 통과해 위로 물길을 타고 40여분 정도 올라가면 창성사지를 찾을 수 있다.
아름다운 창성사지 등산길 창성사지를 오르는 길은, 오르는 내내 감탄사가 절로 나왔다. 일행 중 한명은 "야~ 좋다!" 연신 이 말을 내뱉는다. 산을 많이 탄다는 일행에게서 그런 소리가 나왔으니 이 길이 얼마나 아름다운 길인지 새삼 느끼게 된다. 10여분 올라갔을까 광교산에서도 높이가 꽤 있는 폭포 물줄기가 보인다. 이 정도 높이의 폭포는 광교산에서는 처음 보는 풍경이다. 대략 5m 정도의 높이의 폭포였는데 아마 광교산에서 가장 높을것으로 보였다. 우거진 숲길, 기이한 모양의 나뭇가지의 나무들 하늘보기 부끄러워 옆으로 자란 나무도 있다. 신기하게도 지나가는 등산객한테 절을 하는 모양이지 않은가! 이 나무는 전생에 죄를 많이지어서 이렇게 절하는 나무로 태어났을까 하는 재미난 생각도 해본다. 또한 인근엔 역동적인 모양의 나무들이 수도 없이 보였다.
그러한 모양들의 나무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으니 신비한 느낌마저 들었다. 특히 이곳의 자연풍경은 사람들이 많이 찾는 사방댐 방향으로 가는 길보다 더욱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다. 길에서 만나는 야생화 군락 창성사지로 가는 길엔 이곳저곳 여러군데의 물길이 있다. 특히 이 길엔 물이 샘솟는 구간이 많았는데 그런 곳에선 야생화가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었다. 파란 꽃잎을 가진 달개비꽃을 비롯 물봉선, 닭의장풀, 사데풀, 수수, 둥근유홍초, 돼지풀, 왕고들빼기꽃등이 청성사지 오르는 곳곳에 서식하고 있었다.
7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창성사지 물길을 따라 한 30여분 올라왔을까 드디어 창성사지에 찾을 수 있었다. 창성사지 절터는 외진 등산로에 위치해 있어 오르는 내내 등산객들을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러나 토끼재로 올라가는 구간중엔 가장 아름다운 등산로가 아닐까 한다. 산림이 우거진 깊은 숲속길, 시원한 물줄기와 폭포가 있는가 하면 거대한 거북모양의 바위도 만나볼 수 있었다. 또한 기이한 모양의 나무들이 많이 있었으며 곳곳에 샘솟는 물줄기 주변엔 야생화가 군락을 이루며 자라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처음만난 700여년의 역사를 가진 창성사지는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러한 새로운 느낌을 들게 만드는 몇 가지 이유 중 하나는 수령 250년 이상 되어 보이는 노송이 우뚝 서 있었고, 또한 아직까지 샘물이 솟는 우물터가 그래했고, 곳곳에 남아있는 장대석과, 기단석, 주초석 등이 있어 더욱 그러했다. 창성사지를 한번 둘러보았다. 지금은 오랜 세월의 흔적들만 남아 있었고, 여름내내 우거진 수풀이 절터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
어째서 우리 조상들은 이곳에 절을 세웠던 것일까? 갑자기 궁금해졌다. 그리고 이곳에서 바라본 광교산 절경과 수원시내가 보이는 풍경을 보고서야 그때서 왜 이곳에 절을 세웠는지 이해가 됐다.
광교산 산줄기 풍경이 여기서 보이엔 용이 꿈틀 거리는 모습이었고 절터가 있는 이곳은 머리 부분처럼 보였다. 풍수지리를 약간은 안다지만, 이곳은 풍수지리로 본다면 최적의 장소인 듯 보였다. 또한 인근엔 물줄기도 많았고, 우물터도 많았다.
백두대간 13정맥중 하나인 한남정맥의 최고 높은 산인 성스러운 광교산 이곳에 절이 안 세워 진다는 게 이상할 정도로 느껴졌다. 아쉬웠던 점은 이정표가 세워져 누구라도 쉽게 창성사지 절터를 쉽게 찾아가 볼 수 있게 하는 게 무엇보다 절실함을 느꼈다. 이곳에서 고려시대 창성사의 옛 모습을 보게 되는 날도 나름 기대도 해본다.
도시, 외간특수전문으로 지역소식은 물론, 이야기가 있는 스토리로 재미있게 구성하며 최신 과학 및 SF, 우주, 문명, 시간, 역사, 스토리, 미스테리, 탐사보도, 유튜브, 판타지 등의 소식을 전달하는 매거진(웹진) 타잎의 전문 사이트 입니다. 개인 매체로서 상업성이 없으며, 넷시티의 글들은 경험과 실화,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작성 되었으며, 이곳에 사용되는 이미지와 동영상들은 유사 상황을 참조 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무엇보다 이곳의 글들은 인류가 처한 위기를 전하기 위함입니다.
보통은 지구에서의 마지막과 함께 이주를 다룹니다.